IRP 안전자산 30% ETF 추천!

IRP에서 안전자산 활용을 통한 안정적 투자 방법을 소개합니다. IRP 계좌와 DC형 계좌에서의 안전자산은 필수이며, 이를 통해 기준 금리보다 높은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투자 성향별로 안전자산 ETF를 추천하여 정리하였습니다.

1. IRP 계좌와 DC형 계좌의 안전자산 선택

안전자산이라고 하면 현금이나 예적금을 생각할 수 있는데 그보다는 다양한 상품이 있습니다. IRP 계좌와 DC형 계좌에서 담을 수 있는 안전자산 상품들과 투자 성향별 추천 종목을 정리하였습니다.

2. 퇴직연금 계좌의 안전자산 투자 규정

IRP 계좌와 DC형 계좌에서는 위험 자산의 70%만 투자 가능하며, 30%는 안전자산에 투자하도록 법적으로 규정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제한은 퇴직연금을 노후 자금으로 사용해야 하므로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도입된 것입니다.

또한 IRP 계좌에서는 레버리지, 인버스, 선물 상품 및 국내외 개별 주식에 대한 투자가 불가능합니다. 안전자산 투자에 대한 고민은 IRP 계좌 내에서 허용되는 자산의 제한으로 인해 생긴 것입니다.

IRP 안전자산 30% ETF 추천! 썸네일

3. IRP 계좌에서의 안전 자산 투자

IRP 계좌에서 투자 가능한 자산으로는 ETF, 펀드, MMDA, RP, ELS, 인프라 펀드, 리츠, 예금, 합성 상품 등이 있습니다. 합성 상품은 ETF 이름 뒤에 ‘합성’이 붙은 종목을 뜻하며, 선물 상품은 투자할 수 없지만 합성 상품에는 투자할 수 있습니다.

4. 각 투자 성향별 안전 자산 분류

(1) 안정형 투자자

안정형 투자자는 원금 손실을 원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100% 안전 자산에 투자하기도 합니다.

안정형 투자자가 선택할 수 있는 첫 번째 상품은 예금이며, 예금은 1금융권 은행과 마찬가지로 예금자 보호가 되는 안전한 상품입니다.

두 번째로는 금리형 ETF가 있는데, 위험 자산으로 분류되는 종목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안전 자산인지 확인후 투자하기를 권합니다.

세 번째로는 단기 채권 ETF가 있고, 이 상품은 손실이 거의 없는 안정적인 상품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만기 매칭형 채권ETF도 안정형 상품으로 포함되며, 수익률은 낮지만 원금 손실 확률이 매우 낮습니다.

(2) 중립형 투자자

중립형 투자자는 TDF와 TRF 상품도 IRP 계좌에 담을 수 있으며, TRF 상품은 특정 위험 수준을 목표로 설정하는 상품으로, 다양한 위험 자산에 따라 자동으로 투자 비율이 조정되기 때문에 추천할만 합니다.

중립형 투자자에게 추천하는 첫 번째 안전 자산 상품은 종합 채권 ETF입니다. 종합 채권 ETF는 여러 종류의 채권을 포함하고 있어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장기 채권 ETF로, 현재 고금리로 인해 가격이 많이 하락하여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세 번째 안전 자산 상품은 미국 대표 지수의 채권을 포함한 ETF로, 주식 30%와 채권 70%의 비중으로 분산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중립형 투자자는 TDF 상품을 활용할 수 있으며, 이는 은퇴 시점을 고려하여 자동으로 투자 비중이 조절되는 상품으로 편리성을 제공합니다.

마지막으로 배당과 채권이 혼합된 ETF 상품이 있으며, 이는 배당주와 채권을 적절히 혼합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3) 공격형 투자 유형

공격형 투자자는 하이 리스크 하이 리턴을 추구하며, 손실을 감내할 준비가 되어 있는 투자자입니다.

단일 종목에 채권을 추가한 상품도 존재하며, 예로는 타이거 테슬라 채권 혼합, 코덱스 테슬라 인컴 프리미엄 등이 있습니다.

공격형 상품의 수익률은 변동성이 크지만, 기대할 수 있는 수익률도 높아지므로 잘 비교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6. 퇴직연금 계좌에서 안전자산 활용하기

퇴직연금 계좌에서 안전 자산과 위험 자산을 구분할 때, 투자 한도가 100%인 종목은 안전 자산으로 100% 투자 가능하다는 점을 알아두면 좋습니다. 투자 성향에 맞춰 IRP 계좌에서 다양한 안전 자산을 확인해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단순한 현금이나 예적금 외에도 기준 금리 이상으로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다양한 투자 상품이 존재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