퇴직연금과 IRP에서 안전 자산 30% 을 etf를 이용하여, 주식 투자 비중을 최대한 높이는 방법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안전 자산을 채권ETF로 구성하여 위험 자산 비중을 높이는 전략을 알아보겠습니다.
1. IRP 안전 자산 30% 투자 고민과 해결책
많은 사람들이 IRP안전 자산 30%를 어떤 상품에 투자할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은행 예금 대신, IRP안전 자산에 100% 투자 가능한 ETF 상품에 투자하였다면 작년 한 해는1년 만에 20% 가까운 수익률을 낼 수 있는 해이기도 합니다. 여기서 소개할 내용은 IRP에 100% 투자 가능한 ETF 상품들입니다.
2. IRP 안전 자산 30% 규정 극복 전략
많은 사람들이 세액 공제와 노후 준비를 위해 연금 계좌를 활용하지만, IRP에 투자하는 사람은 적은 편입니다. IRP의 안전 자산 30% 규정은 채권이나 은행 예금과 같은 안전 자산을 반드시 보유해야 하며, 이는 노후 자금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한 것이지만 투자 성향에 따라 부담스럽게 작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안전자산을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원리 보장형, 권형, 채권 혼합형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주식 비중이 40% 이하인 ETF를 선택하면, 위험 자산 비율을 82%까지 높일 수 있어 수익률을 높이는 데 유리합니다.
3. IRP에 적합한 ETF 상품 소개

위험 자산 70%로 나스닥 100과 S&P 500에 분산 투자하고, 안전 자산 30%는 미국 주식 40%와 채권 60%로 구성된 ETF에 100% 투자하였더니 19.34%의 수익률이 나왔습니다.
신한 자산 운영의 “SOL 미국 배당 미국채 혼합 50 ETF”는 배당 성장주 SCHD와 미국 채권을 50대 50으로 구성하여 IRP에 안전자산 형태로 투자가 가능합니다.
이 ETF는 IRP 주식 비중을 85%까지 끌어올릴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월 배당을 받을 수 있어 배당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추천할 만 합니다.
“SOL 미국 배당 미국채 혼합 50″은 주식 비중이 높고 수수료가 낮아 괜찮은 선택으로 보이며, “ACE 미국 S&P 500채권 혼합 액티브”는 순자산 가치와 수익률, 수수료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
다른 투자상품으로 “SOL 미국 탑 5 채권 혼합 40″가 있는데 수수료가 낮은 편입니다. 하지만 순 자산이 적고 수익률이 좋지 않은 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