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ETF를 투자할 때 효율적인 계좌 추천

주식, ETF를 모아가기 좋은 계좌를 설명하면서 연금저축, IRP, ISA, 위탁계좌의 장단점을 비교합니다. 특히 배당주 투자시 연금저축, IRP, ISA 계좌의 세금혜택들 정리하고 효율적으로 배당주를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1.국내 주식 투자

(1) 국내 배당주 투자

국내 배당주는 SK텔레콤이나 은행주 같이 배당률이 높은 국내 주식을 말합니다. 국내 배당주 투자는 ISA 계좌가 가장 좋습니다. 2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서민형의 경우 400만 원)을 받아 배당금에 붙는 15.6%의 배당소득세를 떼지 않고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2) 배당주 이외의 국내 주식

국내 주식 투자는 삼성전자, 하이닉스 등 개별 주식을 의미합니다. 국내 주식 투자는 시세 차익을 얻기 위한 투자라면 ISA가 1순위입니다. 이익에 대해서 200만 원까지 비과세 혜택을 누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다른 투자 상품이 있는 경우 그쪽 혜택을 우선적으로 보는 것이 더 효과적이기 때문에 위탁 계좌를 추천합니다.

정리하면, 

  • 국내 주식만 투자한다면 ISA계좌에 담는 것이 좋습니다.
  • 국내 주식 이외의 상품도 함께 투자한다면, ISA계좌는 배당주나 ETF에 양보하고 국내 주식은 위탁 계좌에 넣는 것이 좋습니다.
주식, ETF를 투자할 때 효율적인 계좌 추천 썸네일

2. 국내 상장 ETF

(1) 국내 상장 배당 ETF

아리랑 고배당ETF, KODEX배당가치 ETF와 같이 배당을 받는 것이 목적이며 국내에 상장된 배당 ETF는 국내 배당 주식과 마찬가지로 ISA 계좌가 가장 적합합니다. 만약 ISA의 한도가 다 찼다면 연금저축과 IRP에서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2) 국내 상장 ETF

KODEX200, TIGER200과 같이 국내 상장 ETF의 경우 ETF는 비과세 혜택이 이미 있기 때문에 위탁 계좌에서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3. 해외 주식, 미국 주식

(1) 미국 주식 직투

엔디비아, 테슬라와 같은 미국 개별 주식을 직접 투자하는 경우에는 위탁 계좌에서만 투자가능합니다.

4. 해외 ETF

(1) 해외에 상장된 미국 주식 ETF

QQQ, VOO, SCHD와 같이 해외에 상장된 ETF는 미국 개별 주식과 마찬가지로 위탁 계좌에서만 투자가능합니다.

(2) 국내 상장 미국 배당 ETF

TIGER 미국배당다우존스 등 해외 지수를 추종하는 국내 상장 미국 배당 ETF는 연금저축, IRP에서 투자하는 것이 유리하며 세금 이연 혜택이 있습니다. 특히 장기투자로 차곡차곡 모아갈 계획이라면 연금저축, IRP가 더 유리합니다.

ISA는 3년마다 끊어서 새로 가입하는 게 최고의 전략인 만큼 장기로 모아가는 배당 ETF와의 순위는 연금저축, IRP 뒤로 미뤄지게 됩니다.

(3) 국내 상장 미국 ETF

KODEX나스닥100 등 해외 지수를 추종하면서 배당보다는 성장을 목표로 하는 국내 상장 미국 ETF는 연금저축, IRP, ISA 어디든 상관이 없습니다. 초장기로 투자할 계획이면 연금저축, IRP를 추천하지만 차익을 목표로 한다면 3년마다 해지하는 전략을 ISA에서 쓰는 것이 더 좋습니다.